목록전체 글 (38)
데이터 노가다 일지
내 연구에서 뉴스데이터의 감성수치를 이용해 아파트 시세 예측에 도움을 주는가를 증명하기위해 이 논문을 리뷰해 본다. 1. 서론연구 범위 및 방법이 논문에서는 연구 범위(뉴스기사의 범위)를 전국으로 설정하였다.서울시가 아니라 전국을 분석의 공간적 범위로 설정한 이유는 이 연구에 사용되는 일간지, 경제신문, 방송사 데이터는 전국을 범위로 뉴스를 만들었기 때문이다.그에 따라 전국 단위로 범위를 확장하였다. 내 연구도 마찬가지로 전국을 단위로 뉴스 데이터를 크롤링할 예정이다. 분석 대상은 아파트 그리고 매매를 대상으로 한다. 분석 자료는 비정형 빅데이터로 텍스트 형태의 신문과 방송 기사, 그리고 정형 데이터닌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이다.내 연구에서는 매매가격지수가 아닌 실 가격을 알기위해 다른 데이터를 사용한다. ..

대학교 4학년 1학기인 지금 재미있어 보이는 기회가 찾아온거같다.팀원들끼리의 협업을 위한 독립된 공같을 학교에서 지원받아 보고싶다. 라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지도교수님에게 말씀드렸더니 구두로 요청하지말고 공식적으로 요청하라 하셨다. 아마도 제안서를 말씀하신거같다.사실 아직 제안서인지, 기획서인지 잘 모르겠다. https://lemonmail.tistory.com/71 기획서,제안서,보고서의 차이점오늘은 기획서와 제안서,보고서의 차이점을 정리하여 올립니다. 사내외에서 사용하는 기획서, 제안서, 보고서의 차이는 작성 목적 및 내용 구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1. 기획서 작성 내용 : 기획lemonmail.tistory.com여기 보면 내가 원하는건 기획서와 제안서의 중간부분(?)으로 생각된다. https://..
본 문서는 2025년도 졸업 프로젝트를 위한 연구 계획서입니다.새로운 아이디어나 변경 사항이 생길 경우, 본 계획서에 지속적으로 추가 및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1. 연구 제목멀티모달 학습 기반 위성 이미지 및 감성 데이터를 활용한 부동산 시세 예측 모델 개발2. 연구 배경 및 필요성최근 부동산 시장은 다양한 변수에 따라 복잡하게 움직이며, 정확한 시세 예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특히 단순한 정형 데이터(면적, 층수 등)만으로는 가격 변동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비정형 데이터(이미지, 텍스트)와의 융합이 요구된다.본 연구는 위성 이미지와 뉴스 기반 감석 분석 데이터를 결합하여 부동산 시세 예측의 정밀도를 높이고자 한다.기존 연구들이 개별 데이터 유형에 한정되는 반면, 본 연구는 정형 데이터 + 이..

https://kma.re.kr/homepage/custom/greeting 한국마케팅학회한국마케팅학회kma.re.kr 한국마케팅학회이다.About KMA(사) 한국마케팅학회는 국내 최대의 마케팅 관련 학술조직으로 1985년에 창립되었습니다. 본 학회는 마케팅과 이와 관련된 학문의 연구와 발표를 통하여 한국 마케팅 발전에 기여하며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그렇다고 한다..바로 시작 1. 요약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은 스타트업의 초기 자금을 충당하기위한 방법중 하나 이다. 그 외에도 상품의 시장성을 사전 판단하거나 하는 다른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기도 하다. 크라우드 펀딩 관련 기존 연구들은 동영상 수, 이미지 수, 기간 등의 수치 데이터를 주 변수로 사용했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

이 글에서는 트렌스포머 모델의 핵심 메커니즘인 self-Attention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겠다.https://arxiv.org/abs/1706.03762 Attention Is All You NeedThe dominant sequence transduction models are based on complex recurrent o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an encoder-decoder configuration. The best performing models also connect the encoder and decoder through an attention mechanism. We propose a newarxiv.org Transformer Model ..

http://www.krabe.or.kr/about/about01.php 한국상업경영학회2025년 제25대 한국상업경영학회(구, 한국상업교육학회) 학회장을 맡은 한국외국어대학교의 김중화 교수입니다. 한국상업경영학회는 전임 학회장님들과 임원진, 그리고 무엇보다 본 학회의 발전www.krabe.or.kr한국산업경영학회에서 게시한 논문이다.교수님이 놀랄만한 아이디어를 탐색중 인공위성 이미지를 활용한 주택 시세 예측이 가능한가? 에 대한 아이디어에서 시작했다. 물론 검색해보니 다른 누군가가 시도했던 연구들이었다.지금 리뷰하는 논문이 위성 이미지를 잘 활용한거같다는 판단이 들어 리뷰를 시작한다.학회 자체는 그리 메이저 학회는 아닌거같다. 조직도를 보면 거의 중간정도거나 처음 들어보는 대학의 교수진들이 포함되어 있..

https://spri.kr/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소프트웨어 중심사회의 Think Tank 국가연구기관spri.kr소프트웨어 정책 연구소에서 발행한 논문을 리뷰한다.학문적인 학회와 달리 위 연구소는 정부에서 참고하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리포트 정도 이므로 기본적으로 아이디어 수립을 목표로 리뷰해 볼 생각이다. 초록본 연구는 콕스회귀분석과 누적한계추정법으로 1995 ~ 2015년까지 1,084개의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을 분석하고, 생존율과 샘종의 결정요인을 밝히는 것이다.분석 결과 생존율의 경우, IT서비스, 패키지 소프트웨어, 게임 소프트웨어, 인터넷 서비스 각 분야별로 다른 형태를 보였다. 또한 연구개발 투자, 기업의 매출액, 자산증가는 생존에 긍정적이며, 여유 자원은 ..

논문을 게시하기 위해 정한 학술지? 학회는 부동산학연구로 정했다.Perplexity 추천이긴하지만.. 그래도 처음 게시하기도 하고 아직 학부생 수준에서는 도전해볼만한 수준이라고 하더라.. 너만 믿는다..매년 3, 7, 11월 달 논문을 게시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앞으로 여기서 출간한 학회를 중점으로 리뷰해볼 생각이다. 화이팅~! https://www.ejrea.org/# 부동산분석(Journal of Real Estate Analysis)The Journal of Real Estate Analysis (JREA) is dedicated to promote the research based information related with real estate anlaysis. The official title..

랜덤 포레스트란 무엇인가?랜덤 포래스트(이라 RF)는 앙상블(ensemble) 학습 기법 중 하나로, 여러 개의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생성하고 이들의 예측을 결합하여 최종 예측을 도출하는 방법이다. 개별 결정 트리의 단점을 보완하여 더 나은 일반화 성능과 예측 정확도를 제공한다. RF의 구성 요소결정 트리(Decision Tree) : 랜덤 포레스트의 기본 구성 요소는 결정 트리이다. 각 결정 트리는 데이터의 특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류하거나 회귀하는 데 사용한다.앙상블(ensamble) : 여러 개의 결정 트리를 결합하여 단점을 보완하고 더 강력한 모델을 만드는 과정이다.2025.04.22 - [알고리즘] - 결정트리 결정트리의사결정 나무란?주어진 입력값들의 조합에 대한 의사결정 규..

1. 서포트 벡터 머신 (SVM, Support Vector Machine) 알고리즘 개요SVM알고리즘은 머신러닝에서 잘 사용되지만 요즘 딥러닝에 밀리는 추세라고 한다. 하지만 보통 대학 수업 과정에서 잘 나오므로 공부해보았다.SVM은 머신러닝에서 널리 사용되는 지도 학습 알고리즘으로, 주로 분류와 회귀 문제에 활용된다. 간단하게 말하면 두 개 이상의 집단을 가장 잘 자누는 경계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아래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보겠다.SVM의 목표는 서로 다른 두 클래스의 데이터를 가장 넓은 간격(마진)으로 구분하는 최적의 경계(초평면)를 찾는것.위와같이 두 개의 집단을 나누는 여러가지의 초평면을 구할수 있겠다.하지만 가장 잘 나눈 초평면은 뭐라고 할 수 있나?바로 두 집단중 가장 초평면에 가까운 객체(..